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조선통신사선(船)

관련이슈 설왕설래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5-04-24 23:12:27 수정 : 2025-04-24 23:12:26

인쇄 메일 url 공유 - +

‘감자’는 김동인이 1925년 발표한 한국 현대문학의 대표적 단편소설이다. 복녀와 왕 서방의 은밀한 만남을 매개하는 소설 속 감자는 사실 고구마다. 고구마는 조선 후기 한반도에 들어와 기근이 심할 때 곡류 대신 먹을 수 있는 구황작물로 많은 생명을 구했다. 이 고구마 종자를 일본에서 처음 가져온 이가 1763∼1764년 조선통신사 정사(正使)로 방일했던 조엄(趙?)이다. 고구마란 이름도 조엄의 방일 일지 격인 ‘해사일기(海?日記)’에 적힌 ‘고귀위마(古貴爲麻)’에서 비롯됐다. 일본 쓰시마(對馬) 지방에서 고구마를 가리키는 방언 ‘고코이모’를 한자음으로 옮겨놓은 것이다.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조선통신사가 탔던 배가 재현돼 조엄의 항해 루트인 부산∼일본 오사카(大阪) 사이의 뱃길을 항해한다고 한다. 28일 부산항을 출발해 오사카만국박람회 한국의 날인 다음달 13일에는 인근 선착장에서 입항 기념행사가 열린다. 항해 전후로는 서울, 부산, 도쿄 등지에서 조선통신사 관련 행사가 개최된다. 어제는 서울 종로구 경희궁에서 삼사(정사·부사·종사관) 임명식이 재현됐다. 정사는 2001년 일본 도쿄 신오쿠보역 철로에 떨어진 일본인을 구하려다 27세 나이로 숨진 의인 이수현씨의 모친 신윤찬씨가 맡았다.

임진왜란 후 총 12차례 있었던 조선통신사의 방일 중 부산∼오사카 구간 항해는 11차에 해당하는 조엄 일행이 마지막이었다. 조엄 일행은 한양(서울)∼부산 육로, 부산∼오사카 해로, 오사카∼에도(도쿄) 육로 구간을 11개월간 소화했다. 그중 방일 기간 8개월 가운데 5개월이 해로 이동 구간이다. 교린(交隣)을 위한 왕복 4500㎞의 ‘고난의 행군’이었다.

조선통신사는 오늘날 한·일 우호와 문물교류의 상징이다. 조선통신사기록물은 한·일 합의로 201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기도 했다. 통신사가 왕래하던 시기엔 양국 사이에 침략과 전쟁이 없다는 사실(史實)과 우리 식탁 위의 고구마는 교류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260여년 만에 다시 힘차게 돛을 올리는 ‘우호의 배’가 믿음(信)을 나눈다(通)는 통신의 의미를 되새기며 무사 항해하기를 바란다.


김청중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
  • 김지연 '청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