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등 일부 지역 일정 조정 가능성
2명 중 1명은 “하반기 집값 상승” 전망
올해 하반기 전국에서 아파트 약 13만8000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상반기 분양 물량보다 2배 가까이 많은 수준이다. 다만 ‘6·27 대출 규제’ 여파로 수도권 일부 단지에선 분양 일정이 조정될 수 있다는 관측도 함께 흘러나온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올해 하반기 전국 156개 단지에서 총 13만7796가구(일반분양 6만4697가구)가 분양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상반기 실제 분양물량(총 7만1176가구, 일반분양 5만1911가구)과 비교해 총가구수 기준으로는 약 94%, 일반분양 기준으로는 25% 많다.

직방은 “하반기에는 정비사업 등 대단지 공급이 대거 계획되면서 전체 공급 예정 규모는 확대된 반면 실제 청약 가능한 일반분양 물량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것”이라고 짚었다.
현재로선 7월(2만9567가구)과 8월(2만5028가구)의 분양예정 물량이 상대적으로 많지만 구체적인 분양 시점을 확정하지 않은 물량(월 미정 물량)도 2만7265가구에 달해 연내 실제 분양 일정이 집중되는 시기는 아직 유동적인 상황이다.
지난달 27일 발표된 초고강도 대출 규제로 인해 수도권 일부 단지를 중심으로 분양 일정 조정 가능성도 나오는 분위기다. 정부가 수도권·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갭투자’(전세 낀 매매)에 쓰이기 쉬운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도 금지하는 등 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수분양자의 자금 조달 여건은 한층 더 까다로워진 상태다.
직방 관계자는 “건설사 역시 청약 수요의 수용 가능성과 금융 접근성을 고려해 분양가와 시점을 보다 정밀하게 조율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하반기 분양예정 물량 가운데 수도권이 전체의 약 65%(8만9067가구)를 차지한다.
한편 시장에서는 하반기 주택 매매가격 상승 전망이 우세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R114는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 961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한 결과 49%가 주택 매매가격 상승을 전망했다고 밝혔다. 부동산R114는 “2021년 하반기 전망 조사에서 상승 전망이 62%를 기록한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