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게 215g로 가장 가벼운 폴드폰
두께는 4.2mm 역대 2번째로 얇아
침체된 시장 회복 ‘신병기’로 기대
2억 화소 카메라 등 성능 ‘울트라’
외형 경쟁 中업체 따돌리기 전략
플립7, 첫 자체 칩셋 탑재 가능성
‘엑시노스 2500’에 자신감 드러내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신작 ‘갤럭시 Z 폴드·플립7’이 9일 미국 뉴욕에서 베일을 벗는다. 삼성의 신제품이 최근 한껏 높아진 중국 업체들의 ‘폴더블 콧대’를 꺾어놓을지, 기대보다 더딘 폴더블폰 시장 확대의 기폭제가 될지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7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폴드·플립7은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현지시간 9일 오전 10시(한국시간 오후 11시) 개최되는 신제품 공개 행사 ‘갤럭시 언팩 2025’에서 처음 공개된다. 출시 예정 제품은 폴드·플립7과 보급형 제품인 플립 팬에디션(FE), 갤럭시 워치 8 기본모델과 클래식 모델 등이다.
언팩의 주인공은 폴드7이 될 전망이다. 폴더블폰 업계가 세계에서 ‘가장 얇은’ ‘가장 가벼운’이라는 수식어를 놓고 혈투를 벌이는 가운데, 폴드7은 가로로 접는 역대 폴더블폰 중 ‘최경량’ 타이틀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공개된 가장 얇고 가벼운 모델은 지난 2일 중국 아너가 발표한 ‘매직 V5’로, 펼쳤을 때 두께가 4.1㎜에 무게는 217g이다. 폴드7의 두께 예상치는 4.2㎜로 매직 V5에 0.1㎜ 모자라지만, 무게는 215g으로 2g 더 가벼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폴더블폰 업체들이 두께와 무게에 ‘집착’하는 배경엔 시장 특성이 자리한다. 폴더블폰은 바 형태의 스마트폰을 탈피한 새로운 폼팩터(기기 형태)로 금방 프리미엄폰의 주류로 떠오를 것이라고 기대를 모았지만 현실은 반대였다.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 사업부장 겸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은 2022년 7월 뉴욕 기자간담회에서 “2025년까지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량의 50% 이상을 폴더블로 채우겠다”고 선언했는데 삼성 프리미엄폰 판매량 중 폴더블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15.5%, 지난해 12.2%로 오히려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아직 폴더블폰 자체가 소비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시장분석기관 CCS 인사이트의 벤 우드 수석애널리스트는 “소비자들은 폴더블폰의 넓은 디스플레이를 선호하지만 (바형 스마트폰에 비해) 두껍고 무겁다고 생각한다”며 “훨씬 얇고 가벼운 폴더블폰이 출시된다면 소비자들이 폴더블폰 구매를 다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더 얇고 가벼운 폴더블폰만이 침체된 시장을 극복할 해법이라는 뜻이다.
삼성에게 이번 두께·무게 다이어트는 시장 파이 확대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삼성은 폴더블폰 시장 개화와 대중화를 이끌며 줄곧 업계 선두주자를 지켰지만, 최근 중국 업체들에 자리를 위협당하고 있다. 2022년 79.2%, 2023년 55.1%, 지난해 32.9%(이상 지난해 기준 IDC 조사)로 점유율이 하락 중인 삼성으로선 반등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당장 눈에 보이는 기기 외관부터 ‘원조’의 힘을 증명해야 한다.


삼성은 폴드7이 폼팩터뿐 아니라 성능 또한 ‘울트라’급이라며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중국 업체들이 두께·무게 줄이기에 모든 열정을 쏟는 동안 삼성은 폴더블 시리즈 최초의 2억화소 메인 카메라, 폴더블에 최적화된 인공지능(AI)까지 탑재해 한 발 더 앞서가는 전략을 택했다.
플립7은 스마트폰 두뇌에 해당하는 칩셋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갤럭시 Z 시리즈 최초로 삼성의 자체 칩셋인 ‘엑시노스 2500’이 탑재될 가능성이 제기돼서다. 그간 삼성 폴더블폰은 구조적으로 내부공간이 좁고 발열 제어가 까다로워 엑시노스보다 비싸지만 성능과 효율이 좋은 퀄컴의 스냅드래곤을 채택해 왔는데, 플립7 탑재로 엑시노스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