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4·6호기 폭파… 매몰 4명 구조·수색 본격화, ‘크롤러’ 현장 장악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1-11 13:43:26 수정 : 2025-11-11 15:30:20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쾅~’

 

짧은 굉음과 함께 거대한 철골 구조물이 무너져내렸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엿새째인 11일 정오. 울산 남구 용잠동에 서 있던 4·6호기 타워가 폭파로 순식간에 사라졌다. 높이 63m, 가로 25m, 세로 15.5m에 달하는 두 개의 거대한 철제 탑은 5초 만에 잔해더미로 변하면서 흙먼지와 파편이 폭풍처럼 주변을 뒤덮었다. 두 개의 타워로 5호기 붕괴 사고의 구조·수색이 지연되자, 소방당국은 결국 방해가 된 두 타워를 폭파해 치웠다. 인명 구조를 위해 대규모 타워를 강제적으로 폭파시킨 사례는 국내에선 이례적이다.

 

5초만에 60여m 높이의 보일러 타워 2개가 내려앉았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두 타워가 사라지면서 붕괴 사고로 매몰된 4명의 실종자를 향한 수색 구조 활동이 속도를 내고 있다 . 400t 크롤러 크레인을 중심으로 굴착기 등 중장비 6대가 현장에 투입됐다. 당국은 이들 장비를 이용해 현재 위치가 확인된 매몰자 2명에게 접근하기 위한 구조물 해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수색·구조 전문가로 구성된 8개팀 70여명과 민간 해체전문가, 첨단 장비가 동원됐다. 

 

소방당국은 “5호기 잔해 상판 끝부분을 크레인으로 고정해 흔들리지 않도록 한 뒤, 아랫쪽 잔해를 잘라가며 공간을 확보해 수색·구조 작업을 벌인다”고 설명했다 

 

순식간에 무너져 내리는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울산소방본부 제공

구조 대상자는 4명이다. 위치가 확인된 사망 추정자 2명과 위치를 알 수 없는 실종자 2명이다. 사망 추정자 중 1명은 6호기 쪽 방향 입구에서 3∼4m 떨어진 지점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지점은 빔 절단기를 이용해 구조에 나선다. 나머지 1명은 4호기 쪽 방향 입구에서 4∼5m 지점에 있다. 이 곳은 구조물 하중이 집중돼 있어 고중량 철골 구조물부터 절단하고 해제해 진입할 예정이다. 소방 당국은 구조대원의 안전도 담보하면서 24시간 구조 체제를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오피니언

포토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
  •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
  • 임지연 뚜렷 이목구비…완벽 미모에 깜짝
  • '고우림♥' 김연아, 물오른 청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