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물량 줄어들까 다들 불안
40대 초반 강남 영끌 사라질 것”
발표 직후 국토부 홈피 일시 마비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에 부동산 업계는 거래 위축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집값이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서민의 내 집 마련의 꿈은 물론 전세 물량도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5일 서울 강북구에서 13년째 공인중개사무소를 운영 중인 A(62)씨는 “이 정도 규제면 당분간 거래가 거의 없어지며 부동산 상승세가 일시적으로 멈출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그동안 세입자를 끼고 내 집 마련을 하고 자신은 전세나 월세로 생활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면서 대출도 조이고, 절차도 까다로워지니 현금부자가 아니면 서울에서 내 집 마련은 어려워졌다고 본다”고 말했다.
A씨는 또 “갭투자가 막히니 전세 물량도 줄어 전세 구하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며 “오늘 기존에 상담 중이던 고객들 전화 받느라 정신이 없다. 다들 패닉상태”라고 전했다.
대출 규제 타깃이 된 강남구의 경우 수요 양극화가 벌어질 것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강남구에서 15년째 공인중개사로 활동 중인 B(64)씨는 “오래되거나 나 홀로 아파트 같은 매물은 주로 동작이나 마포 등지에서 학군 때문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해서 오는 40대 초반 부부가 많았는데, 이 수요가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B씨는 “다만 대단지 프리미엄 아파트 등의 주 수요층은 현금 구매력이 있는 사람들이어서 잠시 주춤할 뿐 이내 다시 상승세를 탈 것으로 본다”고 분석했다.

초미의 관심사였던 10·15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이날 한때 국토교통부 홈페이지가 마비되기도 했다. 오전 10시쯤 국토부가 관련 보도자료를 홈페이지에 공지하자마자 대책 세부사항을 확인하려는 접속자들이 몰리면서 보도자료 페이지에 접속 지연이 발생했다. 국토부는 “대책 발표 직후 예상보다 많은 접속자가 몰려 서버가 순간적으로 과부하를 일으켰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