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말 논란’ 친윤계 장예찬 복당…친한계 반발
“이게 국민 놀랄 빠른 변화인가”, “윤석열 전면 내세운 선거”
중도 확장보다는 보수 결집 위한 ‘우클릭’ 행보
尹 탈당 요구에도 김문수 “후보가 말할 일 아냐”
국민의힘이 12·12 군사반란에 가담하고 5·18 광주 민주화운동을 무력 진압한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위촉해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과거 막말 논란으로 지난해 총선에서 공천 취소된 장예찬 전 최고위원을 복당시켰다. 6·3 조기대선이 19일 남은 시점에서 국민의힘이 중도 확장보다는 보수 결집을 위한 ‘우클릭’에 심취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선거대책위원회는 전날 오후 6시40분 정 전 장관 등을 포함한 상임고문 14명의 인선을 발표했지만, 당 안팎에선 논란이 일자 선대위는 발표 5시간 만에 정 전 장관 상임고문 위촉을 취소했다.

정 전 장관은 12.12 군사반란을 주도한 군내 사조직 ‘하나회’ 핵심 인사로, 전두환·노태우를 비롯해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사령관이었던 이희성, 육군 참모차장 황영시와 함께 ‘신군부 핵심 5인’으로 꼽힌다. 정 전 장관은 5·18 당시 특전사령관으로 전남도청을 사수하던 시민군을 무력 진압한 혐의 등으로 1997년 징역 7년을 확정받은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한민수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5·18 민주화운동 45주년을 목전에 두고 광주 학살 책임자를 선대위에 상임고문으로 영입하다니 김문수 후보는 제정신인가”라며 즉각 반발했다. 그는 “‘윤(석열) 어게인’도 모자라 ‘전(두환) 어게인’을 하겠다는 소리나 다름없다”며 “윤석열 내란 세력도 모자라 전두환 반란군까지 끌어안아 내란 세력 총사령부를 만들겠다는 것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정 전 장관 영입 논란이 가라앉기도 전에 국민의힘 당 지도부는 이날 장예찬·최경환 등 과거 논란을 빚고 탈당한 인사들을 대거 복당시켰다. 특히 장예찬 전 최고위원의 경우, 지난 4·10 총선 당시 ‘막말 논란’을 빚어 부산 수영 공천이 취소된 대표적인 친윤(친윤석열)계 인사로, 당내에선 친한(친한동훈)계 중심의 반발이 잇따랐다.

한지아 의원은 장 전 최고위원 복당 소식이 담긴 언론 보도를 인용하며 “이것이 (김용태) 비대위원장 내정자가 이야기한 ‘국민께서 놀라실 정도의 빠른 변화’인가?”라고 꼬집었다. 박상수 전 대변인은 “김문수 후보와 김용태 비대위원장은 한동훈과 싸우고 다시 윤석열 전 대통령을 전면에 내세우는 선거를 선택했다”고 지적했다.
당내에선 윤 전 대통령 탈당을 두고도 설왕설래가 오가고 있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강제 출당 조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김문수 후보는 “본인이 판단할 문제”라며 선을 긋고 있다.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를 강하게 지지한 ‘콘크리트 우파’를 의식한 행보로 풀이된다.
김 후보는 이날 긴급기자회견 직후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 탈당 문제는 윤 전 대통령께서 판단할 문제”라며 “(대통령) 후보로 나선 사람이 ‘탈당하십쇼, 하지 마십쇼’ 얘기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일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정 전 장관 영입 논란에 대해선 “착오가 있던 듯하다. 저와 상의된 바 없다”고 말문을 흐렸다. 그는 장 전 최고위원 등 복당을 두고선 “모든 분을 다 포용하겠다”며 “국민 행복을 위해 필요한 훌륭한 일과 그런 인재들을 양성해내는 용광로가 되겠다”고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