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반도체 수요에 고환율 여파…공급물가 1년반 만에 최대 상승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1-21 11:47:16 수정 : 2025-11-21 11:47:16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반도체 수요 강세가 이어지며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두 달 연속 올랐다. 여기에 고환율 여파가 더해지며 국내공급물가는 1년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82(2020년 수준 100)로, 전월보다 0.2% 올랐다. 지난 9월(0.4%)에 이어 두 달 연속 오름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5% 오르며 상승 폭이 확대됐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으로,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품목별로 보면 전월 대비 농산물(-5.5%)과 축산물(-5.4%)을 포함한 농림수산품은 4.2% 내렸다. 시금치(-47.5%), 배추(-26.1%), 돼지고기(-14.2%) 등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반면 공산품은 전월 대비 0.5% 올랐다.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3.9%) 가격이 뛰었는데, D램(28.1%), 플래시메모리(41.2%) 등 반도체 가격 상승 영향이 컸다. 금괴(13.3%) 등 1차금속제품(1.3%)도 가격이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은 산업용도시가스(-5.4%)와 폐기물수집운반처리(-1.6%) 등이 내려 0.6% 하락했다.

 

서비스업은 금융 및 보험서비스(2.9%),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0.5%) 등이 올라 0.5% 올랐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D램이나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 수요 강세가 이어지면서 반도체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고 설명했다.

 

생산자물가지수에 수입물가지수를 포함해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9% 상승했다. 지난 7월(0.8%) 이후 4개월 연속 상승세로, 지난해 4월(1.0%) 이후 1년6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원재료(1.5%)와 중간재(1.0%), 최종재(0.3%) 모두 가격이 뛰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총산출물가지수는 1.1% 올랐다. 역시 지난해 4월(1.2%) 이후 최대 폭 상승이다.

 

이 팀장은 “반도체 가격 오름세에 더해, 공급물가지수와 총산출물가지수 산출에 포함되는 수출 물가와 수입 물가가 모두 환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오른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오피니언

포토

에일리 '반가운 손인사'
  • 에일리 '반가운 손인사'
  •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볼하트'
  • 임윤아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