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자 수색 난항…金총리 “모든 역량 총동원”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사흘이 지났지만 실종자 수색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번 사고로 숨진 작업자의 유족들은 “비슷한 사고가 매번 반복된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8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6일 발생한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내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로 매몰돼 소재 파악이 안 되고 있는 작업자 2명을 아직 못 찾았다. 김정식 울산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이날 오전 울산화력발전소 후문에서 진행한 제8차 브리핑에서 “전날 야간 수색 작업은 아직 소재 확인이 안 된 2명을 찾기 위해 집중적으로 했다”면서도 “아직 추가로 발견된 인원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사람이 들어가서 볼 수 있는 곳은 전부 확인했다. 찾지 못한 2명은 (무너진 구조물에) 완전히 짓눌려 있는 곳에 있을 것으로 추측한다. 발견된 3명도 철골 등에 짓눌리고 사람이 들어가 꺼내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매몰자) 구조 방향에 대해선 구조 안전 기술 전문가와 협의하는 중이다. 타워 내부가 복잡하고, 타워 5호기 양옆 4·6호기도 취약화 작업이 끝나 상태가 불안정해 구조 방향이 빨리 결정이 안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보일러 타워 4호기는 취약화 작업이 100% 끝났고, 6호기는 75% 가량 완료돼 있다. 주변에서 큰 진동이 발생할 경우 이들 타워도 붕괴할 우려가 있어 와이어로 묶는 등의 작업이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수본은 전날 오후 피해자 가족이 참석한 회의에서 추가 붕괴 우려가 제기된 4·6호기의 폭파 철거를 결정했다. 이와 관련 김민석 국무총리도 사고 현장을 찾아 인명구조 상황을 살피고 피해자 유가족들에게 애도의 뜻을 전했다. 김 총리는 이 자리에서 구조 및 수습 작업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아직 구조되지 못한 분들이 하루 속히 가족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동원해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유족들은 갑작스러운 사고에 황망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유족은 “뉴스에서 이런 사고를 볼 때마다 ‘앞으론 사고 안 나겠지’ 싶었는데 매번 반복된다”며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번 사고로 숨진 40대 남성 전모씨는 서울에서 정육점을 운영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당시 폐업한 뒤 경남 거제시로 이사를 했다고 한다. 올해 초 조선소에서 일했던 전씨는 반도체 관련 새 일자리를 구했지만 입사가 계속 미뤄졌고, 조금이라도 생활비를 벌어보려 건설현장 일용직 일자리를 구했다가 참변을 당했다.
고인은 지방 등을 돌며 일을 하다 아내와 혼인신고만 하고 결혼식도 못 올릴 정도로 바삐 생활한 것으로 전해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전씨의 아내는 “사고 당일 ‘점심 뭐 먹었냐’는 연락이 마지막이 될 줄 몰랐다. 일하는 걸 뿌듯해했던 사람인데”라며 눈물을 흘렸다. 전씨는 이번 사고로 매몰된 7명 중 가장 먼저 수습된 사망자로, 붕괴 후 약 19시간 동안 잔해 속에 묻혀있다 전날 오전 9시6분쯤 주검으로 돌아왔다.
앞서 지난 6일 오후 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붕괴되는 사고가 났다. 이 사고로 해당 타워 해체 작업 중이던 외주업체 직원 7명이 매몰됐으며, 현재까지 이 가운데 3명이 숨졌다. 다른 4명 중 매몰 위치가 파악된 2명 또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2명은 아직 소재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다카이치 日총리의 급여 반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657.jpg
)
![[삶과문화] 지금 집이 없는 사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472.jpg
)
![RM이 말한 ‘K컬처의 힘’ : 다양성의 언어 [이지영의K컬처여행]](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466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