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특파원리포트] ‘메이드 인 차이나’의 전방위 공습

관련이슈 특파원 리포트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5-01-19 23:12:18 수정 : 2025-01-19 23:12:17

인쇄 메일 url 공유 - +

‘가성비’ 샤오미, 韓에 성공적 안착
BYD도 가격 무기로 전기차 출시
美 관세폭탄 피해 대체시장 노려
우리 업계도 선제적 대책 마련을

중국에서 택시를 잡을 때 BYD(비야디) 차량이 배차가 되면 십중팔구는 만족하는 편이다. 흔히 오는 동급의 일본차와 비교해 신차라 깔끔하고, 뒷좌석 승차감도 나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비야디가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아토3’를 앞세워 한국 승용차 시장 공략에 나선다. 중국 당국의 지원을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사로 도약한 비야디는 올해 중 중형 SUV ‘씨라이언7’, 중형 세단 ‘씰’ 등을 한국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우중 베이징특파원

비야디의 승용 브랜드 출시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놀란 점은 가격이었다. 아토3가 3100만원대, 상위 트림인 아토3 플러스가 3300만원대의 가격이 책정됐으며, 애초 3000만원 중반대로 예상됐던 가격보다 더욱 낮은 가격에 출시된 것이다. 아토3는 재활용률이 낮은 LFP 배터리를 탑재해 올해 환경부 전기차 보조금 규정에 따라 국내 차량보다는 적은 금액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경우 기본 트림은 2000만원대에도 구매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아토3에 대한 보조금을 산정하는 정부의 ‘전기차 보급평가’가 진행 중이며, 실제 인도가 이뤄질 시점에 확정될 전망이다. 이런 가격 정책은 경쟁 모델로 꼽히는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과 기아 EV3 등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 소비자들이 BYD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가장 큰 이유는 중국산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중국 전기차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있다. 하지만 가격과 성능이 합리적이라면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한국 시장 안착은 어렵지 않아 보인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는 출시 행사에서 중국 브랜드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에 대해 “정보 보안 문제는 많이 신경쓰고 있다”며 “국내 서버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고, (정보가) 한국에서 벗어나지 않게 충분히 노력했기에 그렇게 믿어 주면 될 것 같다”고 답했다.

10여년 전 ‘가성비’(가격 대 성능비)가 좋은 휴대전화 보조배터리가 국내에서 인기를 끌며 ‘대륙의 실수’라 불리기도 했던 샤오미는 한국법인을 설립하고 한국 시장에 정식 진출했다. 다음달 보조배터리도 출시하지만 그보다 먼저 자사의 준주력급 스마트폰 ‘샤오미 14T’를 꺼내들었다. 샤오미 14T는 라이카와 협력을 통해 개발된 프리미엄 라인이다. 14T의 가격은 60만원 전후로, 샤오미는 해당 제품을 유럽에서는 약 97만원에 판매한다며 한국에서 더욱 합리적으로 가격을 책정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와 애플이 양분하고 있는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다른 업체들은 주로 중저가 시장을 노려왔지만 이번 샤오미의 출시는 주력 시장까지 진출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미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중국 브랜드의 약진이 돋보인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폰 출하량 점유율이 애플 18.7%, 삼성전자 18%로 2강을 형성했지만 전년 대비 비중은 줄었다. 반면 13.6%로 3위에 오른 샤오미는 전년 대비 15.4%의 성장세를 보였다.

샤오미 역시 보안에 대한 우려를 신경쓰는 모양새다. 키코 샤오미 동아시아 마케팅 총괄은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데이터는 클라우드에 업로드되기 전 모든 개인 식별정보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고 데이터가 무단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된다”며 “샤오미 해외 서버가 유럽에 위치하고 있어 중국으로 데이터가 유출되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이들 제품은 이제 막 국내 시장을 노크했지만 로봇청소기 시장은 이미 중국 기업 로보락이 장악하고 있다. 2020년 국내 법인을 세운 로보락은 지난해 상반기 기준 한국 시장 점유율 절반에 육박하는 46.5%를 차지했다. 특히 고급 로봇청소기 분야에서는 80%가 넘는 점유율을 자랑한다. 더 이상 가성비, 대륙의 실수 같은 단어들로 중국산을 설명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중국산 제품들이 전방위적으로 한국 시장을 노리는 것은 미국·유럽 등의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한 대체 시장 발굴의 일환으로 보인다. 과잉생산과 부정경쟁이라는 비판이 나오지만 당장 관세 등으로 대응할 여력이 없다면 업계의 선제적 대책이 필요하다.


이우중 베이징특파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유인영 '섹시하게'
  • 유인영 '섹시하게'
  • 박보영 '인간 비타민'
  • 박지현 ‘깜찍한 손하트’
  • 정혜성 '심쿵 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