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방부, '국방 AI' 강화 조직개편 추진…전담 차관보 두기로

입력 : 2025-11-18 09:43:40 수정 : 2025-11-18 09:43:3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전력·정보화·군수 등 AI 관련 부서 차관보 산하로 집결…시너지 극대화
민간 전문가가 이끄는 국방인공지능기획국이 중심…내년 1월 시행 목표

국방부가 국방 인공지능(AI) 정책 기능 강화를 위해 전담 차관보를 두는 등 조직개편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8일 국방부가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방부는 내년 1월 시행을 목표로 조직개편을 추진 중이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

지금의 자원관리실장을 없애고 차관보를 신설하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차관보는 전력과 정보화, 군수 등 AI 관련 조직·기능들을 총괄하고 국방 AI 정책을 전담하는 콘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된다.

산하에 국방인공지능기획국과 전력정책국, 지능정보화정책국, 군수관리국 등 4개국을 둔다.

이들 4개국은 현재 여러 실·국에 나뉘어 AI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데, 조직개편을 통해 차관보를 정점으로 모아 AI 정책 추진에서 시너지를 극대화하자는 게 국방부의 구상이다.

우선 전력정책국 산하에 있는 첨단전력기획관이 국방인공지능기획국으로 독립, 차관보 산하로 들어가 국방 AI 정책 추진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

이제까지 첨단전력기획관은 소장급 현역 장성이 맡아왔지만, 국방인공지능기획국장으론 민간 AI 전문가를 채용할 계획이다.

국방인공지능기획국 산하에는 국방인공지능정책과와 국방연구개발총괄과, 유무인복합체계과, 데이터정책과 등 4개 과를 둘 계획이다.

특히 국방인공지능정책과는 국방 인공지능 정책·전략 수립을 주 업무로 하는 부서로, 현재 '팀'급이지만 인원 충원을 통해 '과'로 확대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자원관리실 산하의 군수관리관, 기획조정실 산하의 지능정보화정책관을 국으로 독립시켜 차관보 산하로 배치한다.

이 밖에 기존 자원관리실에 있던 군공항이전사업단과 군사시설기획관 등 AI와 관련성이 없는 조직들은 차관 직속으로 옮기기로 했다.

국방부 계획대로 조직개편이 이뤄지면 국방부 소속 인원 900여명 중 220여명이 AI 전담 차관보의 지휘를 받게 된다.

국방부 차관보 직위는 별도의 법 개정 없이 대통령령인 '국방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개정을 통해 신설할 수 있다. 국방부는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 기획재정부 등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국방부 계획대로 내년 1월 차관보가 신설되면 2006년 김승열 전 차관보 이후 사라졌던 자리가 20년 만에 부활하는 셈이다.

국방 분야에 AI 기술을 접목한 국방 AI는 미래전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국방부는 단기적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군수 등 국방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중·장기적으로는 국방부 장관의 정책 결정을 지원하는 AI 정책참모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방 AI 고도화를 통해 실제 전장에서 지휘관의 결심을 지원하는 AI 전투참모를 구축하고, 무기체계의 고도화·지능화도 추진할 방침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첨단기술의 군 적용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방 AI 전담 조직 신설을 포함한 조직개편을 추진 중"이라며 "차관보 신설을 포함한 조직개편 방향에 대해 관계부처와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연합>


오피니언

포토

표예진 '눈부신 미모'
  • 표예진 '눈부신 미모'
  • 차주영 '완벽한 미모'
  • ‘오늘 결혼’ 김옥빈
  • 정은채 가을 분위기 물씬…단발도 예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