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후 헬스장에서 샤워를 할 때 맨발이면 세균에 오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공용 샤워실 바닥에서 채취한 세균에서 두꺼운 박테리아 층이 형성된 것이다.
15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팔로워 50만 명을 보유한 미생물학자 겸 품질관리 분석가 닉 아이커는 최근 체육관 공용 샤워실 바닥에서 얼마나 많은 세균이 자라는지 직접 테스트하는 영상을 자신의 틱톡 계정에 올렸다. 이날 기준 해당 영상은 2만회 가까운 조회수를 기록했다.
영상에서 그는 면봉으로 샤워실 바닥을 여러 번 문지른 뒤, 이를 특수 인큐베이터에 보관했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용기에선 두껍게 자란 박테리아가 발견됐다.
아이커는 “이것이 바로 공용 샤워실에서 슬리퍼를 꼭 신어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헬스장 내 세균 오염 위험에 대해서는 이미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프리므로즈 프리스톤 레스터대 임상미생물학과 교수는 기고문을 통해 “체육관에서 세균이 가장 많은 곳은 따뜻하고 습한 공간”이라며 “사우나, 샤워실, 수영장 등이 대표적이다”고 지목했다.
그는 “땀은 비타민, 미네랄, 젖산, 아미노산, 지질 등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세균이 자라기 좋은 영양 공급원이 된다”고 설명했다.
가장 흔히 발견되는 병원성 세균은 포도상구균이다. 포도상구균 중에는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이 있는데, 감염 시 통증·발열·부종 등 심각한 증상을 유발한다.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는 MRSA가 피부 표면에 존재하더라도 체내로 침투하면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헬스장 기구에서 살모넬라균이 검출된 사례가 보고됐다. 해당 균은 복통·설사·구토 등을 일으키며 탈수나 패혈증으로 악화할 수 있다.
조너선 플레처 브래드퍼드대 교수는 “세균보다 바이러스·진균 감염이 더 흔하다”며 사마귀, 무좀 등 발 감염 가능성을 특히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공용 샤워실, 수영장, 체육관 탈의실 등을 이용할 때 반드시 슬리퍼를 착용하고, 샤워 후 발을 충분히 건조시키는 등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지킬 것을 권고하고 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제주 해변이 ‘신종 마약 루트’?](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128/20251113519503.jpg
)
![[기자가만난세상] 김포를 바꾼 애기봉 별다방 1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6/26/128/20250626518698.jpg
)
![[삶과문화] 김낙수와 유만수는 왜 불행한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09/128/20251009511351.jpg
)
![[박일호의미술여행] 로코코 미술과 낭만주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128/20251113519317.jpg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1/300/202511115079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