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청입니다. ○○○씨 앞으로 등기가 왔는데 바로 확인하셔야 하거든요."
지난달 5일 경기 안양시 한 회사에서 연구원으로 근무 중인 30대 여성 A씨는 스스로를 검찰 수사관이라 소개하는 한 남성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그의 안내에 따라 당장 수령해야 한다고 말한 등기를 온라인으로 확인해보니 A씨 앞으로 접수된 고발장과 A씨 명의의 대포통장 입출금 명세, 압수수색 영장 등이 줄줄이 나왔다.
이후 이 남성은 "당장 금감원에 가서 자필 서명을 해야 한다. 그렇게 안 하면 검찰로 출두해야 한다"고 겁을 줬다. 이어 "다른 사람에게 알리면 불리하니 일단 회사를 조퇴하고 어디 조용한 데 가서 처리하라"고 지시했다.
"가족이 교통사고를 당했다고 하라"며 구체적인 조퇴 사유를 제시해주기도 했다.
그렇게 남성의 명령에 따라 조퇴하고 인근 휴대전화 대리점에서 새 스마트폰까지 개통한 A씨는 남성이 지정해준 모텔촌의 한 모텔에 들어가 방을 빌렸다.
이제 지정된 계좌로 돈을 송금하는 절차만 남은 상황. 이때 A씨 눈에 들어온 것은 모텔 엘리베이터 버튼 위에 붙어 있던 피싱 예방 포스터였다.
포스터에는 수사기관을 사칭한 일당이 등기를 보여주는 것을 시작으로 휴대전화 개통과 '셀프 감금'을 종용하는 대표적 범행 수법이 적혀 있었고, A씨는 자신이 처한 상황과 판박이인 것을 깨닫고 모텔 업주의 도움을 받아 경찰에 신고했다.
A씨는 "엘리베이터 앞에 붙은 포스터 내용을 보니 내가 지금 겪고 있는 상황과 너무 똑같았다"며 "뒤늦게 사기임을 깨달아 경찰에 신고하고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포스터는 안양만안경찰서 안양지구대 공동체치안활동팀(김승조 경감·박선희 경사)이 올해 6월부터 관내 모텔과 중심상가, 시장 등을 돌며 부착한 1천부의 포스터 중 한 장이었다.
안양만안서가 관내 지구대장과 주간근무 전담 요원으로 구성한 공동체치안활동팀은 3개월 이상의 112 반복 신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매주 우선 예방 과제를 선정해 지역주민, 유관기관 등 공동체 구성원들과 함께 예방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안양지구대 공동체치안활동팀은 관내 모텔 밀집 구역에서 지난 3월부터 3개월 동안 '셀프감금' 보이스피싱 사건 신고가 11건 접수돼 총피해액이 4억2천만원에 달했다는 사실을 파악하고 예방 활동을 강화하던 중이었다.
안양지구대 관계자는 "셀프 감금 수법 보이스피싱으로 인한 피해가 커지고 있어 모텔 업주, 시장 상인회와 협력해 눈에 띌만한 모든 곳에 예방 포스터를 부착했다"며 "지역사회의 적극적 협조 덕에 피해를 예방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최성규 안양만안서장은 28일 "앞으로도 공동체치안활동팀의 치안 모델을 더욱 발전시켜 변화하는 치안 환경에 걸맞은 미래형 예방 치안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레모 퇴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44.jpg
)
![[박창억칼럼] 겸손이 그렇게 힘든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35.jpg
)
![[기자가만난세상] 특별하지 않는 지역 방문의 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20.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분노보다 성찰, 배척보다 포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465.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