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룩셈부르크·독일도 ‘사자’ 전환
9월 이후 영국계 자금 유입 두드러져
코스피가 사상 처음 4000선을 돌파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외국인은 미국과 아일랜드 투자자들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6~9월 사이 외국인 자금이 대거 유입되며 ‘불장(불같은 장세)’이 본격화됐다는 분석이다.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초부터 9월 말까지 미국 투자자들은 국내 상장주식을 8조2280억 원어치 순매수했다.
외국인 순매수 2위는 아일랜드 투자자(4조2090억 원) 였다.
이들은 상반기까지만 해도 월평균 1천억 원대 수준에 머물렀지만, 하반기 들어 월 1조 원 이상 순매수하며 투자 규모를 크게 늘렸다.
같은 기간 룩셈부르크(1조6750억 원), 독일(1조600억 원), 중국(2810억 원) 등도 국내 증시에서 매수세를 이어갔다.
◆영국, ‘팔자’에서 ‘사자’로 돌아서
미국 자금이 장기투자 성격을 띠는 반면, 단기 성향이 강한 영국계 자금은 8월까지 11조8910억 원을 순매도하며 차익을 실현했다.
그러나 9월 한 달간 2조1910억 원을 순매수하며 ‘사자’로 전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달 들어서도 외국인 자금의 유입은 이어지고 있다.
27일 기준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5조8898억 원을 순매수했으며, 같은 기간 기관은 2조7071억 원을 순매수, 개인은 8조8564억 원을 순매도했다.
최근에는 미국계 순매수가 다소 둔화되고, 영국 등 유럽계 자금이 유입세를 이끌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0월 1~24일 사이 가장 많이 한국 주식을 사들인 외국인은 영국 투자자(3조960억 원)이었다.
이어 노르웨이(5850억 원), 아일랜드(3290억 원), 독일(2050억 원), 미국(1580억 원), 프랑스(1440억 원) 순으로 집계됐다.
거래소와 금감원의 집계 방식은 다르지만, 이달 들어선 유럽계 자금이 한국 증시 상승세를 주도하는 흐름이 뚜렷하다는 평가다.
◆ 5개월 만에 1300포인트 급등
전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101.24포인트(2.57%) 오른 4042.83으로 마감하며 사상 처음 4000선을 돌파했다.
5월 말 2697.67 수준이던 지수는 넉 달 만에 1300포인트 넘게 상승했다.
10월 들어서만 100포인트 단위로 여섯 차례 신기록을 세우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코스피 4000 시대를 연 원동력은 외국인 자금의 귀환”이라며 “최근 유럽계 매수세가 강화되면서 상승 흐름이 한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레모 퇴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44.jpg
)
![[박창억칼럼] 겸손이 그렇게 힘든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35.jpg
)
![[기자가만난세상] 특별하지 않는 지역 방문의 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20.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분노보다 성찰, 배척보다 포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465.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