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042년 경제활동인구 1만 미만 시군구 15곳”

입력 : 2025-09-15 06:00:00 수정 : 2025-09-15 08:57:13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22년 기준 ‘0’… 인구, 도시 집중 탓
30만명 이상 최상위권은 소폭 늘어나

우리나라의 대도시 인구 집중이 심화하면서 2042년에는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이 안 되는 시군구가 15개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 3만명 미만 기초지자체는 향후 약 20년간 크게 증가하는 반면 10만∼20만명 수준의 중간 규모 지자체는 줄며 지역별 노동인구 양극화가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경제활동인구란 일할 의사와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만 15세 이상의 취업·실업자를 말한다. 보고서의 저자는 이철희 서울대 교수, 정종우 한은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이다.

 

자료=한국은행

전국 226개 시군구 중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 미만인 시군구는 2022년 기준 없으나 2042년 15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1만명 이상 3만명 미만인 시군구도 49개에서 69개로 증가한다.

 

반면 중간 규모인 경제활동인구 10만명 이상 20만명 미만 시군구는 64개에서 41개로 상당 폭 감소할 전망이다. 최상위권인 30만명 이상 규모 시군구는 18개에서 21개로 소폭 증가한다.

 

2022년부터 2032년까지 35% 이상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는 시군구는 주로 경북 및 경남 북부, 광주에 집중될 전망이다. 15% 이상 증가하는 시군구는 수도권과 세종·대전에 집중됐다.

 

하지만 2042년이 되면 경상권을 포함해 강원, 전북, 전남 대다수 시군구에서도 생산연령인구가 35%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층의 인구이동은 지역 쏠림이 심해 경제활동인구 불균등을 악화했다. 반면 주로 중소도시를 향하는 장년층의 인구이동은 지역 간 불균등을 완화했다.

 

정 연구위원은 “청년층의 이동을 막는 것은 정책적으로 어려울 수 있어, 장년층의 이동 경향을 강화하는 정책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