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 “무효표 불수용 받아들일 것
동지 모멸·배척 안 돼” 단합 강조
캠프에선 “결과 납득 못 해” 반발
지지자들은 가처분 신청 예고도
송영길 “낙 지지자, 일베 닮아”
‘명 구속 발언’에도 불편한 심기
당내 갈등 봉합까지 ‘산 넘어 산’

중도사퇴 후보 무효표 논란으로 촉발된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내홍 사태가 13일 이낙연 전 대표의 승복 선언으로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선 여전히 ‘원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경선 과정에서 쌓인 이 전 대표 측과 이재명 후보 측, 송영길 대표 등 당 지도부 사이 앙금을 해소하기 쉽지 않다는 관측이 적지 않아서다. 이 전 대표 지지자들은 이 전 대표 입장과 무관하게 경선결과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소송인단을 모집하고 있어, 당내 갈등이 봉합되기까진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대통령 후보 사퇴자 득표의 처리 문제는 과제를 남겼지만, 그에 대한 당무위원회의 결정은 존중한다”며 “대통령 후보 경선결과를 수용한다”고 적었다. 당 최고의결기구인 당무위에서 당 선관위의 무효표 처리 방식에 대한 이 전 대표 측 이의제기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하자 이같이 밝힌 것이다.

이 후보는 “잡아주신 손 꼭 잡고 함께 가겠다”고 화답했다. 이 후보는 이 전 대표의 승복 선언 이후 페이스북에 “대의를 위해 결단을 내려주신 이 전 대표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이 전 대표와 함께 길을 찾고 능선을 넘어 반드시 정상에 오르겠다”고 화답했다.
이 후보와 이 전 대표, 민주당은 ‘명낙 대전’으로 감정의 골이 깊어진 지지자들에게 원팀으로 거듭날 것을 당부했다. 이 전 대표는 “서로를 배려하고 존중해 주시기 바란다. 동지 그 누구에 대해서도 모멸하거나 배척해서는 안 된다”고, 이 후보는 “작은 차이를 이유로 우리끼리 다툴 틈이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경선에 참여한 후보 8명 모두를 언급하며 ‘용광로 원팀선대위’ 구성에 박차를 가할 것을 다짐했다.
그러나 이날 오후 당무위 결정이 발표된 뒤에도 이 전 대표 측과 송 대표는 가시돋친 발언을 이어가며 경선 후유증의 흔적을 남겼다.
이 전 대표 캠프 정운현 공보단장은 페이스북에 당무위 결과에 대해선 “우리로선 납득할 수 없다. 유감천만”이라고, 이 후보 측을 향해선 “참은 반드시 거짓을 이긴다”고 적었다.

송 대표는 경선 관리 공정성 문제를 제기하는 이 전 대표 측 강성 지지자들을 극우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로 알려진 ‘일간베스트’에 빗대며 질타했다. 송 대표는 이날 오후 당무위가 끝난 뒤 YTN ‘뉴스Q’에 출연해 “(이 전 대표 지지자들이) 아주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가공해서 악의적 비난을 퍼붓는다. 일베와 똑 닮았다”며 “언론개혁을 떠들던 개혁당원이란 분들이 가짜뉴스 퍼뜨리는데 스스로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 전 대표 캠프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은 설훈 의원이 이 후보의 구속 가능성을 언급한 데 대해선 “올바른 조직인의 자세가 아니다”라며 “국민의힘 대변인처럼 하면 안 되는 것 아니겠나”라고 날을 세웠다.
이 전 대표 지지자들은 법원에 민주당 대선 경선결과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것을 예고하는 등 전면전 태세를 이어갔다. 자신을 민주당 권리당원이라고 밝힌 한 지지자는 이날 SNS에 소송인단 모집 계획을 밝히며 “(송 대표 등) 무리한 사사오입 해석을 한 주체가 다시 (당규) 해석에 대한 심판을 하는 것은 명백한 위헌 소지가 있으니 이를 법원의 판단에 맡기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권리당원 게시판에는 “송영길·이재명 아웃, 가처분 신청 갑시다”, “송영길 탄핵” 등을 주장하는 글이 다수 게재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