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불장에 2030 ‘빚투’ 1년 새 170% 폭증 [뉴스 투데이]

입력 : 2025-11-12 07:00:00 수정 : 2025-11-12 10:07:58
이종민·채명준·구윤모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시중증권사 월별 신용거래현황 분석
2024년 10월 4839억서 2025년 1.3억으로 늘어

5대 은행 11월 초 가계신용잔액 106조
일주 새 1조대 ↑… 4년 4개월 만에 최대

코스피 불장에 뛰어든 2030의 ‘빚투’(빚내서 투자) 규모가 1년 사이 17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종잣돈이 적은 청년층에서 공격적 투자가 대폭 늘어난 것이다. 변동성이 커진 시장에서 상환 부담과 손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11일 세계일보가 한 대형 증권사에 의뢰해 분석한 ‘월별 신용거래현황’을 보면 지난달 20·30대의 이 회사 신용융자금액은 1조3036억원으로 지난해 10월(4839억원)보다 169.4% 증가했다. 특히 30대의 융자금액이 3배에 가까운 178.7%(4022억원→1조1207억원) 폭증했고, 20대도 123.7%(818억원→1829억원) 늘었다. 11월(1∼7일) 들어서도 불과 일주일간 이들의 융자액은 3553억원에 달한다. 신용융자금액은 투자자들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 매수에 사용하고 아직 상환하지 않은 금액으로, 빚투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다.

 

지난해 10월 이후 1년 사이 다른 연령대에서도 빚투 규모는 모두 2배 이상 늘었다. 60대 이상의 융자액은 이 기간 184.2% 늘어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50대는 153.9%, 40대는 149.32% 수준이었다. 융자액 규모로는 50대가 2조611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1조6055억원), 60대 이상(1조5699억원), 20·30대(1조3036억원)가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2030세대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적된 자산이 적은 만큼 지렛대(레버리지) 투자로 인한 손실 발생 시 변동성에 취약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금융투자협회와 한국거래소도 최근 청년층 등에서 신용거래융자 규모가 크게 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시장 상황이 급변하면 손실이 급격히 확대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두 기관은 “미·중 갈등 등 대외 변수와 주식시장의 지속적 상승에 따른 단기 조정 가능성 등이 제기돼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런 시기에는 특히 신용융자의 활용에 더 신중해야 한다”고 했다.

그럼에도 빚투 열풍을 가늠할 수 있는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연일 사상 최대치를 찍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7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26조216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5일에 2021년 9월 이후 약 4년 만에 최대를 기록한 이후 사흘 연속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상승장 때 대출을 레버리지 삼아 수익을 늘리는 것이 목적인데, 주가가 하락하면 손실이 급격히 확대될 수 있어 위험성이 크다.

투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은행을 찾는 발길도 끊이지 않고 있다.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 따르면 7일 기준 가계신용대출 잔액은 105조9137억원으로 집계됐다. 10월 말(104조7330억원)과 비교해 1조1807억원이 늘었다. 일주일 만에 10월 한 달 증가 폭(9251억원)을 넘어섰고, 2021년 7월(1조8637억원) 이후 4년4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특히 코스피가 3800대까지 떨어졌던 5일에는 하루 새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6238억원이나 급증하기도 했다.

이 같은 추세는 우리나라 금융 시스템 취약도를 높인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금융취약성지수(FVI)는 32.9로, 2분기(31.9)보다 1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4분기 28.6에서 올해 1분기 30.7로 오른 뒤 3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3분기 연속 상승은 코로나19 펜데믹 시기인 2020년 2분기∼2021년 3분기(5분기 연속) 이후 처음이다.

빚투뿐 아니라 신규 투자자들의 증권시장 진입도 증시 랠리에 따라 늘고 있다. 삼성증권이 집계한 올해 5∼10월 ‘연령대별 신규 위탁계좌 개설 건수’를 보면 8월 4159좌였던 신규 계좌 수는 9월엔 4737좌로 13.9% 증가했다. 10월엔 전월 대비 63.5%나 늘어 신규 개설이 7743좌를 기록했다.


오피니언

포토

문가영 완벽 미모 과시…시크한 표정
  • 문가영 완벽 미모 과시…시크한 표정
  •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
  • [포토] 아이린 '완벽한 미모'
  • 임지연 뚜렷 이목구비…완벽 미모에 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