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국에살며] 복지는 시설이 아닌 사람

관련이슈 한국에 살며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1-06-23 23:00:08 수정 : 2021-06-23 23:00:0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한국에서 살다 보니 한국은 나름 안전에 대해 많은 노력을 하며 사회를 관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많은 나라에서 한국의 사회복지시설이나 사회복지시스템을 주목하고 있다. 물론 한국도 덴마크, 스웨덴, 핀란드 등 북유럽 국가의 복지 수준까지 성장하려면 쉽지 않은 과정을 겪어야 하는 것이 틀림없다. 하지만 한국은 아이들의 안전을 위한 복지가 잘 돼 있다. 특히 방과후 교실 제도나 놀이터에서 아이들을 보호하는 폐쇄회로(CC)TV 설치 등 안전장치가 잘 돼 있다.

그럼에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과제가 많이 있다. 그것은 바로 외국인 아이들을 위한 복지 시스템이다. 내가 보기에는 시설은 비교적 잘 준비돼 있다. 문제는 시설보다 각국의 언어를 하는 선생님이 필요하다. 아이들이 한국어가 서툴다 보니 학교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된다. 이에 방과 후 친구처럼 고충을 나눌 곳이 있어야 한다.

안드레이 새날학교 교사

그러면 집에 부모가 있지 않으냐고 의문이 들 것이다. 아쉽게도 외국에서 온 부모 대다수가 돈을 벌기 위해 힘든 일을 하고 집에 돌아오다 보니 충분하게 대화를 나누는 경우가 많지 않다. 오히려 아빠와 엄마의 피곤한 모습에 아이가 집안 일을 돕고 저녁을 준비한다. 저녁을 먹고 다음 날 새벽 엄마 아빠가 일터로 가면 아이는 또 저녁까지 혼자 지내야 한다.

복지시설이 아무리 잘 돼 있더라도 자기의 모국어로 상담을 하거나 선생님의 지도를 받지 못해 힘들어하는 외국인 아이가 많다. 하지만 외국인 선생님을 고용하고, 복지시설에서 일할 수 있게 자격을 부여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아이에게 좋은 센터와 좋은 프로그램, 그리고 맛있는 간식이 필요하다. 하지만 친구 같은 선생님이 필요하다. 가장 큰 문제는 급여가 너무 적거나 갖춰야 할 조건이 까다로워 외국인 선생님이 복지시설에서 일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요즘 각 지자체에서 다각적인 다문화 지원 정책을 통해 외국인 아이들이 한국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예비교실’을 운영하며 아이들의 학업과 진로 상담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학교에 ‘예비교실’ 제도가 생겨 아이들의 모국어를 하는 외국인 선생님이 다소 늘었다. 하지만 수업을 마친 아이가 정작 가장 돌봄이 필요한 시간에는 선생님의 도움을 받기 힘들다. 비교적 여유가 있는 외국인 가정에서는 부모가 퇴근해 집에 올 때까지 아이들을 학원으로 보낸다. 그럼에도 아이들은 외로워하는 경우가 많고, 심리상태가 불안하거나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는 매일 하루도 빠짐없이 학교 수업이 끝나고 나면 내가 세운 ‘청소년문화센터’로 달려간다. 그곳엔 40여명의 고려인 아이들이 찾아온다. 이 청소년문화센터에서 나는 월급을 받지 않고, 오히려 직원들에게 월급을 준다. 나의 중요한 일정 중 하나는 아이들이 원하는 상담을 하고 대화를 나누는 것이다. 하지만 나처럼 무료봉사를 하는 외국인 선생님이 많지 않다.

다인종이 공존하는 다문화사회는 이제 좋든 싫든 필연이다. 다문화가정은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나는 복지는 시설이 아니라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다문화 아이들을 위한 시설이 미흡하더라도 아이들을 위해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교사들이 많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안드레이 새날학교 교사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