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고조선의 서쪽 경계 '요하'는 어디일까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17-03-25 10:48:08 수정 : 2017-03-25 10:48:0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고조선의 서쪽 경계 ‘요하’는 어디일까.

강단사학계와 재야사학계의 주요 쟁점인 고조선의 서쪽 경계를 두고 양측이 맞붙었다. 지난 22일 동북아역사재단은 ‘고조선의 서북 경계는 어디까지인가: 동호·흉노와의 관계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의 쟁점은 ‘고조선의 서쪽 경계는 어디였는가’였다.

이후석 숭실대 박사는 고고학 유물을 바탕으로 고조선과 연나라, 동호(東胡, 춘추시대부터 한나라까지 몽골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의 관계를 살폈다. 그는 “고고학적 물질문화를 검토하면 동호는 모두 북방 계통 종족에 해당하며 (고조선과) 문화적인 성향 역시 다르다는 점이 주목된다”고 말했다.

이어 “고조선은 춘추 시기(기원전 770년∼기원전 403년) 요녕(遼寧, 랴오닝) 지역에 중심지를 두었다고 생각된다”며 “기원전 4세기 후반에 이르면 연나라와 치열하게 경쟁하다 전쟁에서 패해 요동 지역의 첸산(千山)산맥 이남으로 중심지를 이동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심백강 민족문화연구원장은 고조선 시대의 요하는 지금의 요하가 아니라 이보다 훨씬 더 서쪽에 있는 장소를 지칭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중국에서 청나라 때 편찬된 총서인 ‘사고전서’(四庫全書)를 비롯한 여러 문헌을 근거로 당시의 요하는 오늘날 베이징 서남쪽에 있는 허베이(河北)성 바오딩(保定)의 ‘역수’(易水)라고 주장했다. 심 원장은 “요동과 요서가 현재의 요하가 아니라 허베이성 역수를 기준으로 설치된 것이라면 요동군 동쪽에 있었던 낙랑군도 당연히 대동강 유역이 아니라 친황다오(秦皇島)에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구성 기자 k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