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해외 반출 문화재 실태 파악부터… 그리고 환수 나서야

입력 : 2016-10-21 20:32:52 수정 : 2016-10-21 20:32:5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안휘준 지음/사회평론/2만5000원
한국의 해외문화재/안휘준 지음/사회평론/2만5000원


해외 문화재에 대한 흔한 인식 중 하나는 강탈된 것이니 돌려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외세의 침략이 많았던 역사, 특히 일제강점기란 엄혹한 세월 때문일 터다. 물론 상당수 해외 소재 문화재는 불법적인 방법으로 유출됐다. 16만여 점의 해외 문화재 중 7만여 점이 일본에 있다는 점만 봐도 이런 인식은 사실을 반영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해외 문화재 전부가 강탈됐다거나, 원래 우리 것이니 무조건 돌려 달라고 나서는 것은 오해이고 억지이기 십상이다.

저자는 해외 문화재를 세 부류로 나눈다. 첫째는 “약탈·절도 등 불법적인 방법으로 반출된 것들”, 둘째는 “외교·통상·선물·구입 등 우호적이고 합법적인 방법으로 나간 것들”, 셋째는 “경위가 밝혀져 있지 않은 것들”이다. 그는 환수의 적극적인 대상으로 첫째 분류에 드는 것들을 꼽고 둘째, 셋째의 것들은 “현지의 해당 국가 국민들에게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올바르게 알리는 데 최대, 최선으로 활용이 되도록 하는 방안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한다.

2012년 해외 문화재 환수를 위해 설립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초대 이사장을 지낸 저자의 경험과 연륜이 녹아있는 책이다.

저자는 해외 문화재의 환수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조사와 현지 활용이라고 역설한다. 그는 “국외 소재 우리 문화재들에 대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이들 문화재에 대한 총체적인 실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공식적으로 확인된 해외 문화재는 16만 여점이지만 알려지지 않은 것을 포함하면 일본에만 30만 여점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해외 문화재에 대한 조사가 아직 부족하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저자는 “해외에 반출된 우리 문화재가 개인 소장품을 포함하여 전부 몇 점이나 되는지, 국가별 소유 숫자는 얼마나 되며, …반출 경위는 어떠한지 등등 하나같이 규명을 요하는 상태”라며 “정확한 실태 파악이 최우선적인 과제”라고 적었다. 현지 활용에 대해서는 “외교와 통상, 선물 등 우호적인 방법으로 해외에 전해진 문화재들과 유출경위가 밝혀져 있지 않은 문화재들은 환수 대상이기보다는 현지에서 한국의 역사의 문화를 올바르게 알리는 데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보인다.

어떤 문화재를 환수해야 할까. 물론 불법 유출된 것이 1차 대상이다. 그중에서도 “최우선 대상은 국내에 전해지는 작품이 없어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예술을 연구하고 규명하는 데 큰 지장을 초래할 정도의 사료적 가치가 큰 것들과 창의성이나 예술성이 뛰어난 국보급이나 보물급의 격조 높은 것들”이다. 환수할 때도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서두르지 말아야 할 것이며 “환수를 전제로 한 조사는 그 자체가 상대방을 자극하거나 긴장시키고 비협조적이게 할 수 있다. 차분하고 논리적인 설득, 상대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